국내외 무역뉴스
[국내] 2월 자동차 생산·내수·수출↓…조업일수 감소 영향 2019.03.14 |
---|
|
2월 자동차 생산·내수·수출↓…조업일수 감소 영향 생산, 25만7276대…전년比 7.1%↓ 내수, 12만617대…전년比 4.2%↓ 수출, 16만442대…전년比 1.6%↓ 지난달 국내 자동차 생산과 내수판매 및 수출실적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. 이는 조업일수 감소와 일부업체의 부분파업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. 14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월 국내 자동차산업 월간 실적에 따르면 지난달 자동차 생산은 25만7276대로 지난해 2월보다 7.1% 감소했다. 조업일수 감소와 일부업체 부분파업 등의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. 업체별로 현대차는 팰리세이드, 코나 등 스포츠다목적차량(SUV)는 생산이 증가했으나 세단형 모델의 생산이 전반적으로 줄며 전년동월대비 10.1% 감소했다. 한국지엠(GM)도 크루즈, 캡티바 등 일부모델 생산 중단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11.1% 줄었다. 쌍용도 렉스턴 스포츠 칸, 신형 코란도 등 신차출시에 따른 기존모델 재고조정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16.2% 감소했다. 르노삼성은 부분파업에 따른 생산감소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43.5% 급감했다. 다만 기아차만 K3, 니로, 카니발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월대비 6.4% 증가했다. 내수도 전년동월대비 4.2% 줄어든 12만617대 판매에 그쳤다. 조업일수 감소의 영향과 함께 수입차 판매 부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. 현대차는 팰리세이드, 싼타페 등 중대형 SUV 위주로 호조세를 보이며 전년동월대비 6.3% 증가했다. 쌍용도 렉스턴 스포츠 칸의 신차효과 등으로 7.2% 늘었다. 반면 기아차는 10.2%, 한국GM은 10.8%, 르노삼성은 8.0%, 수입차는 19.1% 씩 내수판매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. 수출도 조업일수 감소와 세단형 모델 수출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1.6% 감소한 16만442대로 집계됐다. 기아차만 15.6% 수출이 늘었을 뿐 현대차(-6.4%), 한국GM(-10.7%), 쌍용(-5.8%), 르노삼성(-36.1%)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. 다만 수출금액은 28억8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2.7% 늘었다. 지역별로 북미(8.1%), 동유럽(18.9%), 아프리카(56.2%), 오세아니아(2.4%) 등은 증가세로 나타났다. 반면 아시아(-5.9%), 유럽연합(EU)(-6.3%), 중남미(-0.6%), 중동(-51.1%) 등은 감소세였다. 친환경차 내수판매는 하이브리드차 판매 호조로 전년동월대비 2.3% 증가한 7569대를 기록했다. 수출은 코나전기차(EV)와 니로하이브리드(HEV)·전기차(EV) 등의 수출 호조세가 이어지며 전년동월대비 20.3% 증가한 1만4028대로 집계됐다. [뉴시스 제공]
|
첨부파일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