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2022년 베트남 임대 오피스 시장 2022.05.31 |
---|
|
2022년 베트남 임대 오피스 시장 호치민지부
1. 베트남 경제 개황
□ '21년 4/4분기 이후 베트남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는 중 ㅇ 베트남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정책으로 '21년 4/4분기 이후 GDP 성장률이 연속 5%대를 기록하는 등 베트남 경제가 회복세 - '21년 3/4분기 주요도시 락다운(lock-down) 해제 이후 제조·생산 및 수출이 정상화되며 베트남 경제가 빠르게 회복 중
□ 베트남 외국인직접투자(FDI) 유치 양호
ㅇ 베트남은 코로나19 확산 기간에도 견고한 FDI 유치 실적을 이어갔으며 정부의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FDI 유치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
□ '22년 베트남 기업활동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 ㅇ (신규기업) '22년 1/4분기 신규기업 설립건수(34,600건) 및 등록자본(204.9억 달러)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 ㅇ (영업재개) '22년 1/4분기 영업재개 등록기업은 2만 5,588개로 전분기대비 88% 증가, 전년동기대비 73.6% 증가 ㅇ (일시중단) 기업은 전년동기대비 49.7% 증가한 3만 5,981개를 기록 ㅇ (취업자 수) 신규기업 취업자 수는 전분기대비 3만 8천여명 증가한 24만 3천명으로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 중
2. 베트남 임대 오피스 시장현황
□ '21년 이후 베트남 임대 오피스 시장은 전년대비 활성화 ㅇ (순흡수면적) '21년 호치민시와 하노이는 총 13만 2천㎡의 순흡수면적*(net absortion)을 기록
* 순흡수면적 = 특정기간 내 임대된 면적 - 공실된 면적
ㅇ (공실률) 호치민시 및 하노이 임대 오피스 공실률이 전년대비 감소
□ '22년 1/4분기 호치민시 임대 오피스 시장이 강한 회복세를 기록 중 ㅇ (수요) 호치민시 락다운 해제 이후 중소기업들이 대거 오피스를 이전 ㅇ (순흡수면적) '22년 1/4분기 호치민시 임대 오피스 시장은 순흡수면적 17,000㎡('21년 호치민시 순흡수면적의 32% 수준)를 기록 ㅇ (공급면적) 호치민시 임대 오피스 공급면적은 전년대비 3% 증가한 250만㎡를 기록 ㅇ (임대율) 임대 오피스 임대율은 전년대비 1%p 상승한 90%를 기록 ㅇ (임대료) 평균 월 임대료는 전년대비 상승한 ㎡당 31.1 달러를 기록 ㅇ (임대유형) 호치민시 사무실 임대 거래 유형 중 사무실 이전(55%)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, 갱신(25%)과 확장(20%)이 뒤를 이음
□ '22년 1/4분기 하노이 임대 오피스 시장 역시 전분기대비 활성화 ㅇ (코로나 영향) 하노이는 코로나 4차 확산이 더 길게 이어지면서 4/4분기에도 오피스 임대수요가 감소를 기록하였으나 '22년 1/4분기 임대수요가 다시 증가 ㅇ (수요) 기업들이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중심업무지구의 높은 임대료를 피해 외곽으로 이동하는 추세 ㅇ (공급면적) 하노이 임대 오피스 공급면적은 전년동기대비 8% 증가한 217만㎡ ㅇ (임대율) 하노이 임대 오피스 임대율은 전분기대비 2%p 상승, 전년동기대비 4%p 하락한 89%를 기록 ㅇ (임대료) 하노이 임대 오피스의 평균 월 임대료는 $21.1/㎡를 기록하며 안정적으로 유지 ※ 1 USD = 23,000 VND 환율 적용 □ 팬데믹 기간 재택근무 경험으로 하이브리드 근무* 수요가 증가
*오피스 근무와 원격 근무를 혼합한 형태의 근무 ㅇ '21년 3/4분기 주요도시 락다운 등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시행으로 비필수(non-essential) 서비스 기업들은 재택근무 시행
□ 공유 오피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ㅇ 팬데믹으로 경영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경기 상황에 따라 상대적으로 유연하게 대처 가능한 공유 오피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 ㅇ 호치민시와 하노이 내 공유오피스 공급면적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
3. 향후 전망
ㅇ (총괄) 글로벌 경제 재개 및 베트남의 FDI 유입으로 베트남 오피스 임대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나 전세계적인 금리인상 시 투자수요가 위축되어 오피스 임대 수요 증가폭이 둔화될 가능성 ㅇ (공급) '22~'23년 호치민시와 하노이에 각각 30만㎡ 이상, 25만㎡ 이상면적의 신축 오피스가 공급될 전망 ㅇ (수요) '22~'23년 호치민시와 하노이의 예상 순흡수면적은 각각 20만㎡ 이상으로 전망하며 단기적으로 A급 오피스 위주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 ㅇ (임대료) 호치민시와 하노이에서 오피스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평균임대료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 ㅇ (거점 오피스) 하이브리드 근무 수요가 발생하면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 ㅇ (공유 오피스) 신규기업이 증가하면서 공유오피스 역시 중단기적 관점에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 ㅇ 동시에, ESG(환경사회적책임지배구조) 친환경 오피스 빌딩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할 전망
4. 결론 및 시사점
ㅇ (총괄) 코로나 팬데믹 이후 경제 재개로 베트남 오피스 임대 시장 활성화 ㅇ (임대인) 신축 오피스 빌딩으로의 임차인 이동이 예상되어 구축 오피스 빌딩의 시설관리 및 교체, 수선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와 같은 현상은 A급 오피스 위주로 두드러질 것 ㅇ (공유 오피스) 팬데믹 이후 업무환경 변화와 스타트업 기업 수 증가로 중단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ㅇ (ESG) 베트남 오피스 시장 역시 베트남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및 세계적인 ESG경영 추세 등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서는 탄소 배출이 적은 친환경 오피스에 관심이 필요
※ 자세한 내용은 붙임의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|